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 ETF3

연금저축펀드, 무엇을 사야할까? 2022년 연금저축펀드 투자 일기 1편 2021년 연금저축펀드를 개설하고 연말정산을 위해 돈만 넣어둔 뒤 어떤 종목을 사야할 지 고민하다가 한달이 가버렸다. 고민하는 동안 MMF를 살 생각도 해보았지만 MMF도 금리가 올라가는 시기에는 마이너스가 날 수 도 있다고 하여 (아직도) 고민중. 그러다가 남편과 올 해 우리 집의 수익구조를 점검하고 투자 계획을 다시 세웠다. 육아휴직 중인 남편은 앞으로 1년간 육아휴직수당만 나오고, 그 금액으로는 남편의 고정지출을 해결하면 그 이후엔 내 월급만으로 생활비를 포함한 모든 경비를 대야 한다. 그렇다고 저축과 투자를 안하는 것은 안될 일. 짜내고 짜내어 나는 월 64만원씩 투자를 하기로 하였다. 30만원은 ISA 계좌에서, 34만원은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하기로 결심.. 2022. 3. 19.
나의 첫 미국 주식 배당금 1) 주식 구매 계기 주위 말에 쉽게 휩쓸리기도 하지만 선뜻 결정을 쉽게 못내리는 성격인 나. 주식 투자에 대해서도 방어적으로 나가는 편이다. 반대로 남편은 조금 공격적 투자를 하는 편인데, 그나마 '장기투자, 여유자금'으로만 투자라는 공통의 관점이 있어 아직까지는 큰 충돌이 없다. 다시 나의 상황으로 돌아가, 내가 주식 등 투자를 본격적으로 생각하게 된 계기는 현재 내가 가지고 있는 노후준비는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노후 준비에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지금 아직 자본이 많지 않은 나로서는 부동산도, 큰 채권도 할 수 없는 상황. 이럴 때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주식이었다. 특히 2020년 이전에 사뒀던 주식들이 미친듯이 오르는 것을 보면서 아, 이게 단순 투기만이 아니라.. 2021. 5. 3.
고배당 저성장 미국 ETF, SPHD 내가 처음으로 산 미국 ETF는 SPHD이다. 자세히 정리한 블로그가 많아 나는 간단히, 요약만 해서 정리해보기로 한다. SPHD는 쉽게 말해 미국 S&P 500 기업 중 배당률이 높은 50개 회사를 모아둔 ETF이다. 성장률은 낮은 편이지만 매달 안정적인 배당이 나온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서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 배당률은 약 4%가 넘어가기 때문에 고배당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투자했다면 연 총 4만원이 나오고, 월별로 따진다면 3천원이 조금 넘는 금액이 입금된다. (아래 모든 자료의 출처는 etf.com) 주로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금융, 기술, 자유소비재 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으로 보자면 아이언마운틴, 엑슨모빌, 센츄리링크, 킨더 모건 .. 2021. 5. 2.
반응형